올 여름 장마 강한 비 온난화의 영향

이슈분석 / 차성호 기자 / 2020-08-04 18:01:20
동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이상 고온 현상과 연관

[에너지단열경제]차성호 기자

 
올해 여름 장마가 길게 이어지고 강한 비가 쏟아지는 것은 온난화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상청에 따르면 제주는 장마가 지난 6월 10일부터 7월 28일까지 49일째 이어지며 역대 가장 길었다.
남부지방은 6월 24일부터 7월 31일까지 38일간 지속했다.
남부지방과 함께 장마가 시작한 중부지방은 41일째 비가 계속 내리고 있다.
역대 최장기간인 2013년 49일을 돌파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장마전선은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에 따라 우리나라로 북상하고 고기압 가장자리로부터 따뜻한 수증기가 다량 유입되고 강수 구역이 동서로 길고 남북으로 좁게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장맛비는 국지적으로 강하게 내리는 특성을 띠고 있다.
온난화의 ‘나비 효과’, ‘파생 효과’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6시부터 3일 오후 4시까지 서울·경기도에는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
일본과 중국에도 물 폭탄이 쏟아졌다.
일본은 지난달 초 규슈 지역에 기록적 폭우가 내려 70여명이 사망했다.
중국도 남부지역에서 두 달째 이어지는 홍수로 수재민이 지난달 말 기준 5000만명을 넘어섰다.
창장(양쯔강) 유역 홍수통제에 핵심역할을 하는 싼샤댐이 연일 높은 수위를 기록하고 있어 댐의 안전성을 둘러싼 우려 마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한·중·일 폭우가 북극과 러시아 북부 동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이상 고온 현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북극 기온이 평년보다 크게 올라가 일종의 ‘반사경’ 역할을 했던 빙하와 눈이 녹고 지면이 드러나 햇빛을 받아들이는 ‘흡수판’이 돼 지구가 뜨거워졌다.
따뜻한 공기가 쌓이면서 공기가 정체돼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던 찬 기류가 남북으로 움직이며 한국·중국·일본으로 밀려왔다.
기상청 관계자는 “나비효과처럼 북극과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비를 붓는 파생 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