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고온, 가뭄, 대형 홍수, 산불 등 극심한 기상 이변
코로나19 속에도 지난해 지구 평균 온도, 관측 이래 가장 뜨거웠던 3개년 중 한해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는 최근 지난해 세계 기후 상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지구 평균 온도가 관측 이래 가장 뜨거웠던 3개년 중 한해라고 밝혔다.
한동안 코로나19로 이동 제한과 경제 위축이 이어지면서 평균 기온의 상승이 주춤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으나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각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기온이 역대 가장 더웠던 3개년 중 한해로 기온이 가장 높았던 2016년, 2019년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혁명 이전보다 1.2도 높아졌다.
지구온난화로 지난해 지구 전역에서는 기상이변이 발생했다.
아르헨티나 북부,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 남미의 많은 지역에 심각한 가뭄이 나타났다.
빙하 크기가 줄어든 북극과 북극해 80%에서 해양 폭염이 등장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등의 대형 화재와 아프리카, 아시아의 대형 홍수도 발생했다.
지난해 러시아의 평균 기온은 3.2도로 2007년 종전 최고치보다 1.0도 높았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에서는 작년 8월 16일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54.4도를 기록했다.
일본 하마마쓰에서는 8월 17일 최고치인 41.1도를 기록했으며 대만에서는 7월 24일 최고 수준인 39.7도를 찍었다.
페테리 탈라스 WMO 사무총장은 보고서에서 “모든 핵심 기후 지표들은 기후 변화가 가차 없이 계속되고 이것이 사람, 사회, 경제에 미치는 손실과 피해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보고서에서 “2020년은 극단적으로 기후가 혼란스러운 한해였다”며 “우리는 기후변화가 초래할 최악의 충격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기후 변화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냈다.
IEA는 전 세계에서 올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이 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기후 변화의 요인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올해 5%가량 증가해 330억t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에는 화석연료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했지만, 올해는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사태에서 회복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올해 전 세계에서 탄소 배출량이 15억t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경고를 전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