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10년 동안 바다 플라스틱 쓰레기 현재의 절반으로 줄인다

사회 / 이재철 기자 / 2021-01-04 18:21:41
해양수산부, ‘제5차 해양환경 종합계획’ 발표 미세먼지와 미세플라스틱 등 과제 해결 집중


해양수산부는 4일 ‘제5차 해양환경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앞으로 10년 동안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도 지금의 6분의 1 수준까지 감축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의 바다 환경 개선 전략을 담고 있으며 최근 문제로 떠오른 미세먼지와 미세플라스틱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정책 목표는 '사람과 자연이 건강하게 공존하는 바다'라는 비전과 '보전', '이용', '성장'이다.
세부적으로 ▲ 깨끗한 수질이 유지되는 청정한 바다 ▲건강한 생태계가 살아있는 바다 ▲쾌적한 해양생활을 즐기는 바다 ▲친환경적인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바다 ▲녹색 해양산업이 펼쳐지는 바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체계적으로 계획된 바다 등의 6대 전략과 세부 과제들을 담고 있다.
대표적인 계획은 11만8000t(2018년 기준)에 이르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2030년까지 절반 수준인 5만9000t으로 줄이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해안가 쓰레기만 대상으로 했던 모니터링을 미세플라스틱, 부유·침적 쓰레기 등으로 확대하고, 바다 쓰레기 수거 인력도 증원할 예정이다.
어업 활동에 쓰이는 어구 등의 자발적 수거를 유도하기 위해 보증금 제도도 도입한다.
전국 항만의 미세먼지도 7958t(2017년 기준)에서 2030년 1266t까지 감축한다.
미세먼지 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선박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항만 대기오염물질 분석·예측 기술을 주요 항만에 적용할 예정이다.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해 ‘5대 해양생태축’도 설정할 방침이다.
주요 해양 생태계를 서해연안습지축, 물범-상괭이 보전축, 도서해양생태보전축, 동해안 해양생태 보전축, 기후변화 관찰축으로 나누고 세부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이미 설정한 해양 보호구역은 계속 확대하고, 보호구역의 용도에 따라 ‘절대보전구역’도 신설한다.
이를 통해 2019년 54%였던 1등급 해역 비율을 2030년에 73%까지 넓히고, 해양 보호구역도 현재 9.2%에서 20%로 확대한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