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영부영' 완공 코앞인데 분양은 ‘몰라’

건설·부동산 / 김슬기 / 2019-03-01 14:27:23
임대전환이냐, 할인 분양이냐, 지역 업계 촉각
사 측 “아무것도 확정된 게 없다”
▲ ▲창원월영 사랑으로 부영 투시도 / 자료제공: 부영

 

주택 시장 불경기가 극심해지면서 분양부터 입주까지 그 난관이 첩첩산중인 가운데 지난 2017년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난조를 겪은 ‘월영부영’의 임대전환설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업승인 변경사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불가 방침을 내비치고 있는 시와 인근 임대아파트에 대한 매수심리가 하락하는 추세 속에 지역 여론이 이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1
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달 준공을 앞둔 ‘창원 월영부영 아파트’가 임대전환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창원 마산합포구에 있는 부영의 자체 사업장인 월영부영 아파트는 모두 가구 수 4,298가구로 집계된다. 지난 2017년 분양에 나섰지만 계약자가 총 177명으로 매우 저조한 분양률을 보여 완공 후 분양을 진행하는 ‘후분양’ 형태로 전환된 상태다.

기존 분양계약을 전부 취소하고 변경을 한 것은 사실상 첫 사례로 꼽혀 주목을 받고 있다. 대규모 미분양 사태에 부영은 계약자들에게 위약금까지 지급하며 해지를 단행했다.

현재 공사 진행률이 98%로 다음 달 중순에 완공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인근 도로 개설 작업까지 진행되면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지역 부동산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부영은 이전의 ‘사랑으로’에서 ‘마린 에시앙 부영’으로 브랜드명을 변경하고 커뮤니티 시설과 마감재 등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에 있지만 지역 업계의 시선은 부정적이다.

창원시 내 주택 가격이 2017년 대비 하락했다는 사실에 비추어 월영부영의 수요층이 많지 않다는 게 이들의 시각이다. 실제로 최초 분양 당시 분양가가 3.3㎡당 평균 980만 원으로 이는 지역 내에서 상당한 고가에 속한다.

이에 대해 분양가를 대폭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지만 분양을 앞둔 부영이 분양가를 공지하지 않고 있는 현재 ‘임대전환’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이에 대해 부영 측은 말을 아끼고 있는 상태다.

부영 관계자는 <에너지단열경제> 와의 전화 통화에서 “회사 측에선 아무것도 확정된 게 없다”라며 “지역 침체인 상황도 있고 (그것에 맞춰) 얼마에 공급할지 아직 정해지진 않았다”고 잘랐다.

특히 임대로 전환할 것이라는 설에 대해서 “확정된 건 전혀 없다”며 “(지역 언론에서 임대전환에 대해) 그럴 거다, 지역 부동산을 돌아보며 얘기를 하고 있는데 본사에선 정해진 게 아무것도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부영의 이런 공식 입장과는 달리 월영부영에 대한 임대전환 행보가 일부 언론을 통해 앞서 보도된 바 있다.

일부 언론에 따르면 창원시 측은 “부영이 임대 전환에 대해 구두로 의사 표현을 해 온 적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부영 측은 여러 방안 중에서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부영의 향후 행보와는 별개로 시는 임대전환 자체에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임대전환을 위해서는 사업승인 변경을 해야 하지만 그 과정이 간단치 않다는 게 창원시 측의 판단이다. 실제로 앞서도 몇 차례 시에선 월영부영에 대해 임대전환 불가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지역 업계 분위기 역시 회의적이다. 인근 임대 주택 수요가 저조한 상태에서 지역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시각이다.

가포지구에서도 부영의 임대아파트의 임대율이 절반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할인 분양에 대해서도 역시 지역 여론이 상당히 부정적이다. 총 4,200여 가구의 물량이 한꺼번에 시장에 풀릴 경우 지역 아파트 시장 가격에 영향이 커질 수 있다는 것. 할인율만큼 당장의 물량 소화는 가능하지만 가격 경쟁으로 인한 실수요자의 흡수로 전체 아파트 시장의 가격 하향세는 길어질 수 있다는 게 일각의 시각이다.

한편 월영부영의 분양 과정은 앞서도 순탄치 않은 행보를 보였다. 앞서 지난 2017년 부영은 해당 아파트에 대한 분양률을 창원시에 신고하면서 실제 분양률의 10배 이상을 부풀린 사실이 적발돼 눈총을 받은 바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국토교통부가 자체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RTMS)을 통해 전국 아파트 실제 분양률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