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이 샌드위치 현상 심화, 4차 산업혁명 신기술 활용 애로, 미래 수익원 부재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기업의 미래와 경제 성장잠재력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은 국내 제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우리 기업의 미래준비 실태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 |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기업들은 신흥국의 역전 위협과 선진국과의 격차 확대를 체감하고 있었다.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기업과 경쟁력 격차에 대해 앞선다고 생각하는 기업은 그 격차가 '3년 이내'(31.6%)라는 응답이 '5년 이내'(18.5%)와 '5년 이상'(8.6%)을 합한 응답(27.1%)보다 많았다.
반면 샌드위치 현상과 관련해 '비슷한 수준'(35.9%)이거나 '오히려 뒤처진다'(5.4%)고 답한 기업도 10곳 중 4곳(41.3%)이었다. 지난 2010년 조사 때 10.4%였던 것이 10년 새 4배 증가한 것이다.
신흥국보다 앞선다는 응답도 '3년 이내'(31.6%)라는 응답이 '5년 이내'(18.5%)와 '5년 이상'(8.6%)을 합한 응답(27.1%)보다 많았다. 신흥국과 경쟁력 격차를 유지, 확대할 골든타임이 3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의라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선진국과의 격차에 대해 '뒤처진다'는 응답은 전체의 61.2%('3년 이내 35.5%, '5년 이내' 14.5%, '5년 이상' 11.2%)에 달해 10년 전(41.3%)보다 20%포인트 높았다. '비슷한 수준'은 35.8%, '앞섰다'는 3.0%였다.
![]() |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경쟁국 대비 강화 추세'라는 기업은 10곳 중 2곳(21.5)에 불과했으며 오히려 '약화 추세'라는 기업은 10곳 중 3.5곳(35.7%)였다.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대한 활용도도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절반에 가까운 48.0%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고, '일부 활용'이 46%였다. '적극 활용 중'이라는 응답은 6.0%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미흡한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신기술 활용 지원 정책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정책 분야별 대응의 충분성'을 묻는 질문에 △규제완화(62.9%) △인력양성(62.7%) △연구개발(R&D)지원(59.4%) △벤처·창업지원(50.6%) 순으로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대한상의는 "미래 기술의 활용 여부는 신규 수익원뿐 아니라 업무 프로세스·고객 서비스 개선 등 기업 경쟁력 전반을 결정짓는 요인"이라면서 "규제 샌드박스 운영 방식을 기존 '건별 심사·승인 방식' 대신 '우선 허용-사후 모니터링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 기업들이 미래 기술을 적극 적용해 볼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기업들은 미래 수익원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응답 기업의 66.9%가 '신사업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62%는 '대책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2010년 조사 때 '미래 수익원 미확보' 기업은 28%에 불과했다.
미래 수익원 발굴에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시장 형성 불투명(41.0%) △자금 부족(21.7%) △기술력 부족(17.3%) △규제 장벽(16.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현재 주력사업이 향후 얼마 동안 주요 수익원이 될지'를 묻는 질문에는 '10년 이상'(39.4%), '5~10년'(31.5%), '3~5년'(21.9%), '3년 이내'(5.0%), '이미 상실'(2.2%) 순으로 답했다. '5년 이내'의 응답 비중은 26.9%로, 전체기업 4곳 중 1곳이 '주력사업 수명'이 단기간 내 끝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와 사회의 선순환 관련 질문에는 '경제 양극화와 사회적 대립이 서로 엉켜 양자 발전이 모두 정체된 상태'라는 응답이 83.6%로 선순환하고 있다는 응답(16.4%)의 5배에 달했다.
선순환 복원을 위해서는 정부의 대안 마련과 리더십 발휘(95.6%), 보수와 진보의 소통(94.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의 기업 격려(94.2%)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기술과 생활 패턴이 급변하면서 기존 사업 모델로는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가 됐고, 한국경제의 미래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골든타임도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면서 "기업들은 신기술과 혁신적 아이디어로 다양한 사업 모델 개발에 도전하고 정부도 새로운 기회와 시장을 만드는 쪽에 힘을 실어주는 방향으로 제도와 플랫폼을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