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윤전기처럼 디스플레이·필름 대량 생산 가능
[에너지단열경제]김태엽 기자= 차세대 전지로 불리는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를 상온에서 대량으로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 |
▲ 한국화학연구원 신원석(사진 가운데)·송창은(왼쪽) 박사 연구팀이 상온에서도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내는 유기 태양전지 대면적 모듈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화학연구원은 신원석·송창은 박사 연구팀이 실험실 밖 환경에서 10% 수준에 근접한 광전변환 효율을 내는 유기 태양전지 공정 개발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유기 태양전지는 실리콘 같은 현재의 무기 태양전지를 대체할 기술로 꼽힌다. 재료 자체의 비용이 저렴해서 전지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광전변환 효율이 발목을 잡고 있다. 섭씨 110도 안팎의 실험실 환경에서는 단위 소자 기준 9%의 준수한 효율을 기록하지만, 25도 정도 상온에서는 4%대로 반 토막 나는 게 현실이다.
이는 유기 태양전지 광활성 층(빛을 흡수해 전하를 생성하는 물질)에 들어가는 고결정성 고분자 탓이다. 고결정성 고분자는 전하 이동도를 높이지만, 상온 공정에서는 효율 저하 문제를 일으킨다.
신원석·송창은 연구팀은 25도에서도 9.66%의 광전변환 효율을 내는 유기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자체 개발한 고결정성 고분자 신소재 덕분이다. 기존 고결정성 고분자(PNTz4T)에 ‘MTC’ 라는 기능기를 도입해 새로운 고결정성 고분자(PNTz4T-5MTC)를 제조했다.
특이점은 하나 더 있다. 바 코팅(Bar coating) 공정을 통해 대면적 모듈(10×10㎝)로 제작한 유기 태양전지 광전변환 효율도 최고 6.61%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바 코팅은 고분자 용액을 빠르고 균일하게 인쇄해 태양전지나 디스플레이 등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윤전기로 신문을 찍는 것 같은 롤 투 롤(Roll-to-roll) 인쇄 공정에 적용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신원석 박사는 “롤 투 롤 공정에 적합한 유기 태양전지 광활성 소재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선 것”이라며 “인체에 유해한 할로겐 용매도 필요 없어서 친환경적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과 한국화학연구원 주요사업 등 지원을 받아 수행했으며, 성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온라인판에 실렸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