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열해 원유를 뽑아내는 열분해유 생산 설비를 소형화해 지역마다 분산 설치하면 기존의 중앙집중형에 비해 투자 비용 등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분석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임한권 교수팀이 분산형 시스템과 기존의 중앙 집중형 열분해유 생산 시스템의 경제적·환경 타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너 프로덕션(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8월호에 발표했다.
주 내용은 플라스틱 처리량은 중앙 집중형이 많지만 연간 수익이나 이산화탄소 배출 등 부문에서는 분산형이 우위라는 것이다.
일간 플라스틱 처리량은 중앙 집중형이 3100~4600kg, 분산형이 1000~4000kg다.
반면 최대 연간 수익은 14만 7800달러와 19만 6600달러이며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일간 670~1430kg와 100~1000kg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총 61개 지역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6개의 컨테이너 형태 분산형 설비와 중앙집중형 공장으로 운송된다고 가정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번 연구는 크로아티아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분산형 설비 가격이 중앙집중형보다 저렴하고, 운송 경로 최적화로 플라스틱 수거 비용도 줄어드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설비 대형화와 공격적 투자로 원가를 낮추는 ‘규모의 경제’ 대신 소규모 시설로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춰 열분해유 생산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재활용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전체의 20%에도 못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300~800°C의 고열로 폐플라스틱을 열처리해 원래 원료 상태로 되돌리는 플라스틱 열분해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