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엘기후모델(Kiel Climte Model)’ 분석 결과.
남극 빙하가 녹은 물(남극 융빙수)이 바다로 유입될 때 향후 200년간 일어나는 변화를 분석한 결과./제공 극지연구소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동아시아의 온난화를 부추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빙하가 녹은 차가운 물이 일정기간 지구의 온난화를 늦춘다는 그동안의 학설과 달리 동아시아의 기온을 오히려 높인다는 것이다.
극지연구소와 국종성 포스텍 교수 연구팀·독일 GEOMAR 헬름홀츠 해양연구소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남극 빙하에서 녹은 물이 1만7000km 이상 떨어진 동아시아의 온도를 0.2도 이상 끌어올린다고 최근 밝혔다.
분석결과를 보면, 남극바다에서 유입된 찬 물은 적도에 위치한 열대수렴대를 북쪽으로 밀어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빙이 늘면서 지구 밖으로 반사되는 태양빛이 많아져 남반구의 온도가 떨어진 데 따른 영향이다.
스위스 리스캄 산 봉우리 사이의 빙하 전경
열대수렴대의 북상으로 북태평양 서쪽의 고기압은 강해졌다.
동아시아로 따뜻한 공기가 흘려들어가면서 온난화를 부추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열대수렴대는 북반구와 남반구의 무역풍이 적도 부근에서 수렴하는 지역을 말한다.
계절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한다.
동아시아 온난화 현상은 남극 빙하 녹은 물이 유입되고 22~71년 동안에 뚜렷해질 전망이다. 반면, 같은 기간 지구 평균 온도는 0.2도 이상 낮아져 동아시아의 상대적인 지역 온난화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연구팀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최근 빠르게 녹고 있는 남극의 현재 모습을 반영한 시나리오와 수치모델 기법을 활용했다고 전했다.
빙하와 빙산
진경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남극과 동아시아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열대 지역을 매개체로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남극이 녹으면서 나타날 지구와 한반도의 미래 모습을 정교한 시나리오로 찾아내, 기후변화 대응에 활용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학술지 지구물리학연구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1월에 게재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